사망보장
갑작스러운 가장의 부재에도 소중한 가족의 일상이 지속 될 수 있도록 AIA생명이 함께하겠습니다.
AIA생명은 고객님의 Healthier Longer Better Lives(더 건강하게 더 오래 더 나은삶) 을 살 수 있도록 유용한 건강,금융,이벤트 관련 소식을 나누고 소통하고자 합니다.
AIA 라운지 바로가기AIA생명은 약 10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독립 상장 보험기업 AIA그룹의 한국법인입니다. AIA생명은 탄탄한 재무구조를 자랑하며, 아태지역 전역에 진출해 있는 AIA그룹의 18개 지사 및 지점 중에서도 혁신적인 금융 상품 및 서비스로 크게 주목 받고 있습니다.
AIA소개 바로가기계약정보, 보험금 청구, 계약 심사 조회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편인증으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회원가입을 하시면 다음 방문 시
빠른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title}}
{{label}}2016 년 12 월 5 일
AIA생명, 달러보험 판매 전년比 2.6배↑ '트럼프 효과' 훈풍 힘입어 판매호조 지속
2016년 12월 5일, 서울 - 올해 달러보험 상품이 '강(强)달러' 날개를 달고 판매가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美 트럼프 대통령 당선 후 지속되는 달러 강세 훈풍(薰風)에 힘입어, 판매실적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
아태지역 최대 생명보험사인 AIA생명의 한국지점(대표: 차태진, 이하 "AIA생명")은 스테디셀러 달러보험 상품인 '(무)골든타임 연금보험'의 올해 10월까지 판매실적이 초회보험료 기준 1억950만달러(약 1285억5천만원, 1,660건 판매)를 기록해 지난 해 같은 기간보다 2.6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2015년 1~10월 판매실적: 4,205만달러, 715건). AIA생명은 여기에 업계 최고 수준의 금리까지 제공해 이 기세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고액자산가를 중심으로 자산에 외화를 포함하고 있는데, 실제로 달러강세 전망이 나올 때마다 이 상품의 판매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곤 했다. 달러강세에서 원화강세로 전환되던 2012년과 2013년에는 판매가 저조하다가, 2014년 원화강세가 정점을 찍자, 달러 가치가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심리로 판매가 급증했다. 올해에는 실제 브렉시트(Brexit,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현실화됐던 지난 6월 이후 판매가 크게 늘어 8월에는 초회보험료 2,636만달러(약 309억원, 425건 판매)를 기록, 정점을 찍었다. 브렉시트로 치솟은 불확실성이 시장에 반영돼 안전자산인 달러상품으로 시중의 돈이 쏠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AIA생명 '(무)골든타임 연금보험' 판매실적 및 환율 변동곡선 (2011년~2016년)
AIA생명 BA사업부 이정호 부장은 "미국의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어 안정적인 자산 포트폴리오 관리를 위해 달러상품을 찾는 문의가 늘고 있다"며 "AIA생명의 달러보험 상품은 일반 달러예금보다 금리가 2배 정도 높을 뿐 아니라 시중의 여타 확정ᆞ변동금리 연금상품과 비교해 업계 최고 수준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어 소비자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서고 있다"고 말했다. 또 "글로벌 경기순환이 반복되는 점을 고려해 장기적 관점에서 자산을 여러 통화로 보유하는 통화분산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미국 달러는 기축통화이기 때문에 통화분산을 위한 첫 번째 통화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무)골든타임 연금보험 상품은 가입 시점의 공시이율(12월 기준 2.78%)을 확정금리로 10년간 지급한다. 또 10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혜택과 함께 초년도 보너스 금리 3%를 기본 확정금리에 추가로 얹어 제공한다. 고액 자산가는 저금리 대안 및 통화분산을 위해, 일반 투자자는 자녀나 손주의 유학, 결혼자금 및 노후자금 목적으로도 가입하고 있다.
2009년 6월 출시된 이 상품의 누적 판매실적은 올해 10월 기준 약 4억 달러에 달한다.
날짜 | 달러 인덱스 |
---|---|
11월 8일 | 97.861 |
11월 9일 | 98.504 |
11월 10일 | 98.785 |
11월 11일 | 99.060 |
11월 14일 | 100.110 |
11월 15일 | 100.230 |
11월 16일 | 100.410 |
11월 17일 | 100.890 |
11월 18일 | 101.210 |
11월 21일 | 101.050 |
11월 22일 | 101.040 |
11월 23일 | 101.700 |
11월 24일 | 101.700 |
11월 25일 | 101.490 |
11월 28일 | 101.330 |
11월 29일 | 100.930 |
참고: 트럼프 당선 이후 달러 인덱스 추이(출처: 블룸버그)